박해성 리뷰

[월평] 전통시조 好調 - 이수화

heystar 2013. 12. 20. 13:59

 

 

 

 

 

..................중략

 

 

                ① 읽다 만 헌책처럼 지루한 나를 펴지요

더러는 접힌 갈피 부서지는 마른 꽃잎

아깝게 놓친 행간에 놀빛이 흥건하고

 

침 발라 넘겨가며 더듬더듬 읽는 속내

이골 난 난독증세 고백한 적은 없지만

자꾸만 시작과 끝이 오락가락 헷갈리는

 

천둥 번개 스쳤는지 얼얼한 구절마다

세기의 금서인가, 글투 사뭇 불온한데

도치된 문장을 베고 열반에 든 하루살이

 

그렇구나! 자전 공전 멀미나는 이 행성에

실수인 듯 점 하나로 단숨에 요약되는 생,

글쎄요, 맞는 말인지‥‥?

독후감은 보류하죠    

 

  세파 때에 절고 절은 걷옷 속곳 다 벗고서

     

     잡내 스민 몸뚱어리 그마저도 벗어 놓고

 

     맨 처음

     안착한 고향

     자궁 속을 거닐거나

 

   예시 은 박해성의 시조 <독서유감> 全文이고 ②는 산강의 연재시조 <오솔길> 전문이다. 두 작품의 병치 인용은 두 텍스트의 상호텍스트성 때문이다. 두 텍스트는 너무 닮았다.

    ①의 박해성은 독서의 독서물이 책이 아니고 "읽다 만 헌책처럼 지루한 나"의 삶이다. ②의 산강 역시 "세파 때에 절고 절은" 삶(몸뚱어리)이다. 그리고 그런 두 삶의 지향의식도 닮았다.  ①의 "놀빛"이 낙막落莫이 그 지향점이라면 ②는 그래도 다시 태어날 여지가 보이고 ①은 황혼 이후 암흑이 아닐 수 없다. 이와같은 전통시조의 낙막주의落莫主義는 그 연원이 시심 이 지향하는 바가 군왕이나 비사회적 인물을 향해 있었던 조선조 정치주의 시정신 탓이겠다. 현대시건 정통 시조이건 포에지의 중차대함은 췌언을 용서치 않는 바다. 박해성의 언어와 구성의 산뜻함은 시조읽기의 매력을 더해주는 순기능이 값지다.

                                                       월평 - 이수화

 

[출처] 월간 『문학세계2013, 11월호에서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