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어의 은유 - 김신용론 - 윤의섭 김신용論 ㅡ‘잉어’의 은유 웹진 시인광장【Webzine Poetsplaza】2013년 6월호 ―이장욱의 「겨울의 원근법」에 윤의섭(대전대 교수) 김신용論 ㅡ‘잉어’의 은유 저 물의 만년필, 오늘, 무슨 글을 쓴 것 같은데 도무지 읽을 수가 없다 몸속의 푸른 피로 무슨 글자를 쓴 것 같은데 읽을 수.. 좋은 문학강좌 2013.09.16
시에 대한 몇가지 편견 - 이성복 시에 대한 몇가지 편견 이 성 복 우리는 시에 대한 편견을 가지고 있다. 손이 분명히 해보다 작지만 손바닥으로 해를 가릴 수 있으므로 ‘해보다 손이 크다’라는 착각을 한다. 시에 대한 우리들의 편견 중에 하나가 비유가 많으면 시적이라고 착각하는 경우이다. 영화 "LONG SHIP"에서 잃어.. 좋은 문학강좌 2013.05.06
나는 왜 문학을 하는가? - 마종기 나는 왜 문학을 하는가? 마 종 기(시인) 삶·죽음의비탈에 서서 생명의 詩를 쓰고파 난 열병을 앓았다 내가 문학이라고 부를 수도 없는 작문이나 동시 쓰기를 즐기고 공을 들이기 시작한 것은 초등학교 때부터였다. 그것은 아마도 아버님 덕택에 우리집에 책이 많았고 그런 책 읽기를 어.. 좋은 문학강좌 2013.03.26
열두 편의 시와 일곱 가지 이야기 - 공광규 나의 시 창작 방법 -열두 편의 시와 일곱 가지 이야기 공광규(시인) 시는 인류가 남긴 최고의 문화예술입니다. 공자는 역대의 시를 모은 <시경>으로 제자들을 가르쳤으며, 중국의 옛 사람 원매는 시를 읽으면 인생이 아름다워진다고 하였습니다. 그래서인지 시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 좋은 문학강좌 2013.03.13
詩作法 - 테드 휴즈 ★ 詩作을 위한 열가지 방법 / by 테드 휴즈 1. 동물의 이름을 머리와 가슴속에 넣고 다녀라. (조류,곤충류,어패류,동물들의 이름을 가령 종달새,굴뚝새, 파리,물거미,달이, 소라고동, 바다사자, 고양이 등) 2. 바람과 쉼 없이 마주하라. (동서남북 바람, 강바람, 산바람,의인화한 바람까지도) .. 좋은 문학강좌 2012.12.11
時調 장르에 대하여 시조 [ 時調 ] 구분 문학 목차 형식 형성과 전개 고시조형성 조선 전기 조선후기 평민가객의 출현과 가집편찬 현대시조 개화기 시조 최남선의 시조 1920 ∙ 1930년대의 근대적 변화 시조의 현대적인 양상과 과제 시조곡 악보 시조창 장단 음계 시조와 가곡 우리나라 고유의 정형시. 고려.. 좋은 문학강좌 2012.09.27
불구의 언어로 말하기 - 송종규 불구의 언어로 말하기 -내 시 속의 라캉- 송종규(시인) 압력을 이기지 못한 주전자가 뚜껑을 들썩거리며 끓어오른다. 소리치고 싶은 내 문장 속의 남자들처럼. 검은 커튼 뒤에는 푸른곰팡이와 남자들의 욕망이 은밀하게 뒤엉킨다. 그들은 아주 가끔씩 내 문장 속으로 발을 밀어넣는다. 은.. 좋은 문학강좌 2012.07.03
나의 시론 - 문태준 나의 시론 문 태 준 “비단 주머니에 새 시가 가득하다오" 1. 새 시집을 낸 소회를 말하는 것은 큰 소득이 없다. 헛헛한 가슴을 석류를 쪼개 보이듯 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올해 시집을 낸 한 지인이 그러길 “나 정말 죽겠어요, 형편 없어요"라고 말하던 게 아마도 솔직한 심정일 것이다. .. 좋은 문학강좌 2012.05.17
시와 연애 하는 법, 마지막 회 - 안도현 베끼고 또 베껴라…시가 날아온다 안 도 현 <필사는 가장 좋은 자기학습법> <사랑하면 서로를 닮고 싶어져> <젊은 날 백석 ‘훔치며’ 꿈 키워> 6. 지독히 짝사랑하는 시인을 구할 것 언젠가 “내 시의 사부는 백석이다”라고 쓴 적이 있다. 또 강연을 하는 자리에서 “나는 그.. 좋은 문학강좌 2012.05.17
시와 연애하는 법, 5 - 안도현 펜끝에 힘을 빼라…생각의 힘 살아난다 안 도 현 5.‘무엇’을 쓰려고 하지 말 것 <일상서소재 찾고 꾸밈없어야 좋은 글> <릴케·두보보다우리 시인 먼저 읽어야> 무엇을 쓸 것인가? 한 미국 작가의 대답은 의외로 간단하다. “글을 쓰는 것은 쉬운 일이다. 이마에 피땀이 맺힐 때.. 좋은 문학강좌 2012.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