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시조

근조화 - 이달균

heystar 2011. 2. 9. 23:51


         근조화

 


                        이달균

꽃들이 영안실에 부동자세로 서 있다
목발에 의지한 덧없고 창백한 도열
언제나 벽을 등진 채 배경이 되고 만다

 


관계를 맺지 못한 死者와의 시든 동행
한번도 저를 위해 피고 지지 못했던
목 잘린 꽃들의 장례, 殉葬은 진행형이다

 

 


1987년 『지평』과 시집 『남해행』출간 등단.
1995년 『시조시학』신인상 시조창작

계간 『시와 생명』편집인 역임
시집『문자의 파편』,『말뚝이 가라사대』,『장롱의 말』,『북행열차를 타고』,『남해행』등
중앙시조대상 신인상, 경남문학상 외 수상


***************

대궁이가 잘린 흰 꽃들이 주로 근조화로 쓰입니다. 그러니까 시간이 지날수록 창백한 도열이 될 수밖에 없지요. 행간이 자못 암울해 보이지만, 워낙 치밀한 구도가 시선을 놓지 않는군요.

삶과 죽음의 어름에서 풀어낸 생명 이미지의 밀도. 영안실에 부동자세로 선 꽃들은 생명의 핏기가 가신, 벽을 등진 죽음의 배경으로 존재합니다. 부음이 전해지기도 전에 이미 '목 잘린 꽃들의 장례'. 이제 그들을 기다리는 건 '사자와의 시든 동행'뿐입니다.

생명 있는 모든 것은 다 꽃입니다. 애시당초 꽃으로 세상에 옵니다. 그러나 덧없는 떠돎 끝에 언젠가는 목이 꺾인 채 버려지는 존재, 존재의 꽃. 화려한 문명의 뒤란에서 순장은 늘 이렇게 '진행형'입니다.

오늘의 조문객이 내일은 또 조문객을 맞기도 할 테지요

 

 

                                     [출처] 2007. 6. 14. 매일신문 <목요 시조산책> - 박기섭(시조시인)

 

 

'좋은 시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림명월도 - 홍성란  (0) 2011.02.11
엑스트라 - 김지송  (0) 2011.02.10
지 에이 피 - 임채성  (0) 2011.02.07
목수의 꿈 - 김강호  (0) 2011.02.06
빈 화분을 보며 - 유종인  (0) 2011.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