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시

칼새의 방 - 김명인

heystar 2011. 8. 17. 21:06

                                   칼새의 방 


                                                      김 명 인 



  십여 년 전인가, 나는
  상봉동의 바위산에 올라가
  닥지닥지 눌러앉은 서울의 집들을 바라본 적이 있다
  그때 집이 없었으므로
  눈 높이까지 차오른 저 집들의 어디에
  나도 마음 누일 방 한 칸 있었으면 했다, 가솔들을 끌고
  몇 개월마다의 이사와 가파르던 숨결
  그리고 십 년 후에 나는 내 집 근처 약수터 야산 밑으로
  이삿짐에 얹혀 트럭에 실려가는
  한 聖가족을 본다, 저기 누군가
  아직도 이 도시에서는 모세처럼
  식솔들을 끌고 해마다 출애굽하는 가장들이 있는 것이다
  어디에 있을 방 한칸을 찾아
  절박했지만, 그러나 방 한 칸 없어 절망조차 없던
  그때는 마른 풀 가득한 빈 들의 시절이었을까
  인생은 그런 것인가, 방 한 칸의 희망을 완성하고
  저렇게 나이 들고 무료하면 하릴없이
  여기 와서 빈 물통 채우면서
  나도 고함이나 한번 크게 질러보는 것인가
  빈 것은 빈 것이 아니라고 우기던
  겨우 그런 나이를 지나서
  저 아래 빈 방인 저의 무덤 곁으로
  다시 언덕을 내려가는 것일까
  어차피 빈 방이 없어도 저기 저 바위가 제 식탁이라는 듯
  모이를 줍고 있는 칼새 한 마리
  누가 뿌린 것도 아닌데 제법 만족한 식사를 끝내고
  칼새는 바위에 부벼 제 부릴 닦으며 즐겁게 재잘거린다
  저렇게 앉아 있는 모습이 칼새 같지가 않다, 득의한 제왕처럼 날개짓도

  한번 크게 쳐보이면서
  아직 집이 없으므로 절망의 둥지는 틀지 않고
  칼새는 다만 자유롭게 서성거리면서

 

                                                                                - 시집『물 건너는 사람』(세계사, 1992) 에서 

 

 1946년 경북 울진 출생.

- 고려대학교 국문학과와 대학원졸업.

- 1973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출항제>당선 데뷔.

- 시집 『동두천』(문학과지성사, 1979), 『머나먼 곳 스와니』(문학과지성사, 1995), 『물 건너는 사람』(세계사, 1992),

       『푸른 강아지와 놀다』(문학과지성사, 1994), 『바닷가의 장례』(문학과지성사, 1997), 『길의 침묵』(문학과지성사, 1999),

       『바다의 아코디언』(문학과지성사, 2002), 『파문』(문학과지성사, 2005) 등.

 

'좋은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구나무 장롱 - 이경림  (0) 2011.08.30
거미 양의 유서 - 최금진  (0) 2011.08.17
수용미학 - 리산  (0) 2011.08.09
달의 여자 - 이미산  (0) 2011.08.09
자화상 - 최승자  (0) 2011.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