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의 집
詩/최승자
그 많은 좌측과 우측을 돌아
나는 약속의 땅에
다다르지 못했다.
도처에서 물과 바람이 새는
허공의 방에 누워, "내게 다오,
그 증오의 손길을, 복수의 꽃잎을"
노래하던 그 여자도 오래 전에
재가 되어 부스러져내렸다.
그리하여, 이것은 무엇인가.
내 운명인가, 나의 꿈인가,
운명이란 스스로 꾸는 꿈의 다른 이름인가.
기억의 집에는 늘 불안한 바람이 삐걱이고
기억의 집에는 늘 불요불급한
슬픔의 세간들이 넘치고,
살아 있음에 내 나날 위에 무엇을 쓸 것인가.
무엇을 더 보태고 무엇을 더 빼야 할 것인가.
자세히 보면 고요히 흔들리는 벽,
더 자세히 보면 고요히 갈라지는 벽,
그 속에서 소리 없이 살고 있는 이들의 그림자,
혹은 긴 한숨 소리.
무엇을 더 보내고 무엇을 더 빼야 할 것인가.
일찍이 나 그들 중의 하나였으며
지금도 하나이지만,
잠시 눈 감으면 다시 닫히는 벽,
다시 갇히는 사람들,
갇히는 것은 나이지만,
벽의 안쪽도 벽, 벽의 바깥도 벽이지만.
내가 바라보는 이 세계
벽이 꾸는 꿈.
저무는 어디선가
굶주린 그리운 눈동자들이 피어나도
한평생의 꿈이 먼 별처럼
결빙해가는 창가에서
나는 다시 한번
아버지의 나라
그 물빛 흔들리는 강가에 다다르고 싶다.
- 출처 ; 인터넷카페 오늘의 좋은시
1952년 충청남도 연기 출생.
-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독문과 졸업.
- 계간 《문학과 지성》 1979년 가을호에 〈이 시대의 사랑〉 외 4편을 발표하며 등단.
- 시집; 『즐거운 일기』(문학과지성사, 1984), 『기억의 집』(문학과지성사, 1989), 『내 무덤, 푸르고 』(문학과지성사. 1993),
『이 시대의 사랑』(문학과지성사. 1999), 『쓸쓸해서 머나먼』(문학과지성사, 2010) 등
- 번역서; 『빈센트, 빈센트, 빈센트 반 고흐』(까치글방),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청하) 등
'좋은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킬리만자로의 시 - 허만하 (0) | 2011.11.21 |
---|---|
벽시계 - 허청미 (0) | 2011.11.13 |
전문가 - 안차애 (0) | 2011.10.16 |
사냥감을 찾아서 - 안차애 (0) | 2011.10.16 |
마우스와 손이 있는 정물 - 이원 (0) | 2011.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