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시조 당선작
노량진 - 조성국
죽음도 물에 빠지면 한번 더 살고 싶다
바닥은 끝이라는데 파면 또 바닥이다
한강을 건너왔는데 부레가 없어졌다
씹다 뱉은 욕들이 밥컵 속에 붙어 있다
눈알이 쓰라린데 소화제를 사먹는다
위장은 자꾸 작아지고 눈꺼풀은 이미 없다
안부를 고르라는 전화를 또 받는다
안쪽을 물었는데 자꾸 밖이 보인다
옆줄을 볼펜으로 찍었다 적절하지 않았다
당선자 조성국 약력 ―1958년 서울 출생
―前 국민일보 기자
[심사평]
핍진하게 그린 '노량진'… 독특한 對句 구사
안정감은 진부함을 낳기 쉽다. 형식에 능해도 엇비슷한 낯익음을 내려놓고 새로움을 집어드는 이유다. 젊은 응모자가 늘고 있어 고무적이지만, 그럴수록 새로운 길 앞의 고심도 크다. 지금 이곳과 괴리되지 않은 인식 위에서 기존의 세계를 타 넘으며 언어의 밀도와 온도를 높이는 날 선 감각부터 가려냈다.
마지막까지 번갈아 되읽게 한 응모자는 이경선·이소현·조성국·조우리·최윤씨였다. 조우리씨는 역동적이고 서사적인 상상력을 펼쳤으나 음보에 녹여 담기 어려운 율격의 편차가 걸렸다. 이경선씨와 최윤씨도 현실을 읽는 시선과 새로운 형상력이 돋보였지만 정형의 미적 구조화에는 미흡했다. 이소현씨는 참신함과 가능성이 높지만 아직 열정이 앞서는 편이다.
당선작으로 조성국씨의 ‘노량진’을 올린다. 정형의 타성을 넘어서는 인식과 언어의 이질적 조합이 탁월하다. 현실에서 잡아내는 갈등의 골도 각이 높고 깊다. ‘죽음도 물에 빠지면 한번 더 살고 싶다’는 직입의 역설이나 ‘파면 또 바닥’이라는 노량진 묘사에는 그 깊이를 만져본 감각이 핍진하게 담겨 있다. 대구(對句)의 독특한 구사도 주목되는데, 고답적 경계를 훌쩍 벗어나 현대의 아이러니를 촉발하기 때문이다. 포장된 희망보다 바닥을 파는 치열함과 동봉한 응모작의 균질성이 즐거운 안부를 고르게 했다. 당선을 축하하며, 더 차고 뜨거운 창신을 기대한다. (심사- 정수자)
'신춘문예 시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농민신문 신춘문예 시조 당선작 (0) | 2023.01.04 |
---|---|
2020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시조 당선작 (0) | 2020.01.03 |
2018 서울신문 신춘문예 시조 당선작 (0) | 2018.01.03 |
2018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시조 당선작 (0) | 2018.01.03 |
2016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시조부문 당선작. (0) | 2016.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