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ystar
2011. 3. 17. 09:44
2011 창비신인문학상
Changbi Prize for New Figures Literature |
 |
 |
|
한국문학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을 역량있는 신예를 기다리며 본사는 신인시인상과 신인소설상 및 신인평론상을 제정·운영하고 있습니다. 패기있는 신인의 많은 관심과 응모를 바랍니다.
|
창비신인소설상 |
상금 700만원 / 응모편수: 단편(원고지 기준 100매 이내) 2편 |
|
창비신인시인상 |
상금 500만원 / 응모편수: 시 5~10편 |
|
창비신인평론상 |
상금 500만원 / 응모편수: 문학평론(원고지 기준 100매 이내) 1편 |
|
|
마감 |
2011년 8월 31일(마감일 소인 유효) |
발표 |
2011년 10월 말쯤 본사 홈페이지(www.changbi.com)에 당선작 공지, 계간 『창작과비평』 2011년 겨울호(11월 20일 간행 예정)에 게재됨. |
시상 |
2011년 11월 말 |
보낼곳 |
413-756 경기도 파주시 교하읍 문발리 513-11 창비 신인상 담당자 앞 |
응모요령 |
1. 우편접수만 받습니다. 2. 응모시 겉봉에 응모분야(시, 소설, 평론)를 꼭 써주십시오 3. 원고에 성명,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주소를 꼭 써주십시오. 4. 다른 지면이나 인터넷 상에서 발표된 작품은 심사에서 제외되며, 응모한 원고는 반환하지 않습니다. 5. 원고는 가급적 A4용지에 출력해서 보내주십시오. |
|
역대 수상자 및 수상작 |
|
■ 신인소설상 |
1998년 제1회 |
김윤영 「비밀의 화원」(가작) |
1999년 제2회 |
임유미 「봄의 계단」(당선작) |
2000년 제3회 |
김지우 「봄의 계단」(가작) |
2001년 제4회 |
권채운 「겨울 선인장」 |
|
표명희 「야경(夜景)」 |
2002년 제5회 |
이상섭 「바다는 상처를 오래 남기지 않는다」 |
2003년 제6회 |
김주희 「소꿉놀이」 |
2004년 제7회 |
당선작 없음 |
2005년 제8회 |
김사과 「영이」 |
2006년 제9회 |
당선작 없음 |
2007년 제10회 |
임세화「모래늪의 기억」 |
2008년 제11회 |
당선작 없음 |
2009년 제12회 |
이반장 「화가전」 |
2010년 제13회 |
최민석 「시티투어버스를 탈취하라」 |
■ 신인시인상 |
2001년 제1회 |
최금진 「사랑에 대한 짤막한 질문」외 4편 |
2002년 제2회 |
안주철 「흉측한 길」외 4편 |
2003년 제3회 |
김광선 「조리사 일기」외 4편 |
2004년 제4회 |
송진권 「절골」 외 4편 |
2005년 제5회 |
김성대 「판화처럼 나는 삽니다」 외 4편 |
2006년 제6회 |
고은강 「푸른 꽃」 외 4편 |
2007년 제7회 |
당선작 없음 |
2008년 제8회 |
백상웅 「각목」 외 4편 |
2009년 제9회 |
주하림 「데이지」 외 4편 |
2010년 제10회 |
김재근 「여섯 웜홀을 위한 시간」 외 4편 |
■ 신인평론상 |
1994년 제1회 |
방민호 「현실을 바라보는 세 개의 논리」 |
1995년 제2회 |
당선작 없음 |
1996년 제3회 |
허 정 「먼 곳의 불빛―나희덕론」 |
1997년 제4회 |
유희석 「보들레르와 근대」 |
1998년 제5회 |
이윤재 「종교적 교감을 통한 치유의 언어―김지하론」 |
1999년 제6회 |
김상적 「언어의 온몸-김수영론」 |
2000년 제7회 |
서영인 「피안과 현실, 절망과 환상이 관계맺는 방식―최인석론」 |
2001년 제8회 |
이재영 「상실의 세계와 세꼐의 상실―신경숙론」 |
2002년 제9회 |
강계숙 「환(幻)의 순간, 초월의 문턱―최정례론」 |
2003년 제10회 |
당선작 없음 |
2004년 제11회 |
당선작 없음 |
2005년 제12회 |
당선작 없음 |
2006년 제13회 |
김종훈 「장자(長子)의 그림, 처남(妻男)들의 연주: 문태준·황병승론」 |
2007년 제14회 |
박창범 「생의 우울을 지탱하는 '지옥의 눈'」 |
2008년 제15회 |
이경진 「속물들의 윤리학―정이현론」 |
2009년 제16회 |
김영희 「라일락과 장미향기처럼 결합하는: 진은영 시의 감성과 정치」 |
2010년 제17회 |
윤인로 「꼬뮌의 조건: 버추얼리즘의 문학을 앓기」 | |